2023년 5월 2일 화요일

점나도나물 꽃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속씨식물군에 속하는 점나도나물에 대해 함께 이야기 해보려 합니다. 속씨식물군 중 석죽과에 속하는 이 작은 풀은 우리 일상에 굉장히 익숙하면서도 또 그렇게 무시되어져 있는 생명입니다. 이글에서 점나도나물의 특징, 분포, 생태 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그 가치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보려 합니다.

1. 점나도나물의 특징

점나도나물은 높이가 15~30cm 정도로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모여 난 것처럼 보입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점'이라는 이름이 붙었는데요, '점'은 작은 점처럼 보이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풀은 어디에서나 자주 볼 수 있는데요,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들이나 밭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원줄기는 흑자색을 띠고 털이 있습니다. 마주나는 잎은 잎자루가 거의 없으며, 잎몸은 길이가 6~12mm, 너비가 4~8mm 정도의 난형입니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양끝이 좁고 잔털이 있어 그 특징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꽃은 5~6월에 개화하며, 취산꽃차례에 달리는 꽃은 백색입니다. 꽃받침보다 짧은 꽃잎이 큰점나도나물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며, 유럽점나도나물과 비슷하나 소화경이 꽃받침보다 길고 선모와 털이 다소 적습니다.

삭과는 길이 9mm 정도의 원통형이며, 수평으로 달려 있고 황갈색을 띱니다. 갈색의 종자는 사마귀 같은 소돌기가 있습니다.

2. 점나도나물의 분포와 생태

점나도나물은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특히 들이나 밭에서 흔히 볼 수 있습니다. 2년생 초본식물로, 주로 종자로 번식합니다. 월동 맥류포장에서는 문제잡초로 분류되기도 합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점나도나물은 나물로서의 가치가 있습니다. 봄에 어린 순을 데쳐서 나물로 먹거나 무쳐 먹습니다. 된장국을 끓여 먹기도 하고, 부추와 조갯살을 넣고 전을 부쳐 먹기도 합니다.

이렇게 먹을 수 있는 점나도나물은 사실 전초를 '아앙채'라 하여 약으로도 쓰입니다. 큰점나도나물 꽃의 꽃말은 순진하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3. 기타 정보

점나도나물은 학명으로는 Cerastium holosteoides var.hall aisanense 또는 Cerastium fontanum으로 불립니다. 그리고 이 풀은 또 다른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채(耳菜), 권이(卷耳), 파파(婆婆), 지갑채(指甲菜)라는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또한 이 풀은 한국을 비롯해 한라산, 지리산, 황해도 이북의 밭과 들에서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토종 한국의 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점나도나물에 대한 이야기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작고 소박해 보이지만, 그 안에는 아름다운 꽃과 나물로서의 가치, 그리고 약으로서의 가치를 갖춘 점나도나물. 이런 소박한 풀들에게 우리가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작은 풀 하나하나가 모여 우리의 생태계를 이루고, 그 생태계 속에서 우리는 살아가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점나도나물은 우리 일상에 꼭 필요한 존재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